본문 바로가기
[찐한공부] PU study

PU case study _ # Pneumonia _ IX. 예후

by jjjjjin_a_day 2023. 2. 20.
728x90
반응형

*** 이전에 정리한 글들 링크 걸어두었습니다. 밑에 'VII. 예방, VIII. 치료'에 대한 본문 내용 있습니다. **

 

 

2023.02.15 - [[Lively RN] 리브쌤 : PU] - PU case study _ # Pneumonia _ I. 정의

 

2023.02.15 - [[Lively RN] 리브쌤 : PU] - PU case study _ # Pneumonia _ II. 분류 _ 1. 발병기전에 따른 분류 (Pathogenetic classification)

 

2023.02.15 - [[Lively RN] 리브쌤 : PU] - PU case study _ # Pneumonia _ II. 분류 _ 2. 병인체에 따른 분류 (Etiologic classification), 3. 해부학적인 분류 (Anatomical classification)

 

2023.02.16 - [[Lively RN] 리브쌤 : PU] - PU case study _ # Pneumonia _ II. 분류 _ 4. 역학적인 분류 (Epidemiologic classification), 5. 면역 상태에 따른 분류 (Classification by immunity), 6. 병의 시간경과에 따른 분류 (Classification by time course)

 

2023.02.16 - [[Lively RN] 리브쌤 : PU] - PU case study _ # Pneumonia _ III. 원인

 

2023.02.17 - [[Lively RN] 리브쌤 : PU] - PU case study _ # Pneumonia _ IV. 메커니즘

 

2023.02.19 - [[Lively RN] 리브쌤 : PU] - PU case study _ # Pneumonia _ V. 증상, VI. 진단

 

2023.02.20 - [[Lively RN] 리브쌤 : PU] - PU case study _ # Pneumonia _ VII. 예방, VIII. 치료


[ 목차 ]

 

I. 정의

 

 

II. 분류                                                                           

 

1. 발병기전에 따른 분류 (Pathogenetic classification)

  1) 흡인성 폐렴 (Aspiration pneumonia)

  2) 흡입성 폐렴 (Inhalation pneumonia)

  3) 혈행성 폐렴 (Hematogenous pneumonia)

 

2. 병인체에 따른 분류 (Etiologic classification)

  1) Infectious

  2) Noninfectious

 

3. 해부학적인 분류 (Anatomical calssification)

  1) 폐포성 혹은 대엽성 폐렴 (Airspace or Lobar pneumonia)

  2) 소엽성 혹은 기관지 폐렴 (Lobular or Broncho-pneumonia)

  3) 간질성 폐렴 (Interstitial pneumonia)

 

4. 역학적인 분류 (Epidemiologic classification)

  1) 지역사회 획득 폐렴 (Community-acquired pneumonia : CAP)

  2) 의료 관련 폐렴 (Healthcare-associated pneumonia : HCAP)

  3) 병원 감염성 폐렴 (Hospital-acquired pneumonia : HAP)

  4)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 VAP)

 

5. 면역 상태에 따른 분류 (Classification by immunity)

  1) 면역부전숙주에서의 폐렴 (Pneumonia in the immunocompromised host)

  2) 고령자 폐렴 (Pneumonia in the elderly)

 

6. 병의 시간경과에 따른 분류 (Classification by time course)

 

 

III. 원인                                                                           

 

1. Bacteria : Bacterial pneumonia

 

2. Virus : Viral pneumonia

 

3. Fungi : Fungal pneumonia

 

4. Parasites : Parasitic pneumonia

 

5. Non-infectious / Idiopathic interstitial pneumonia (IIP : 특발성 간질폐렴)

 

 

IV. 메커니즘                                                                           

 

 

V. 증상                                                                           

 

1. 감염성 폐렴 (Infectious pneumonia) 증상

 

2. 세균성 및 바이러스성 폐렴 (Bacterial and Viral cased of pneumonia) 증상

 

 

VI. 진단

 

1. Physical exam

 

2. Microbiology

  1) Culture

  2) PCR

 

3. Imaging

  1) Chest X-ray

  2) Chest CT

  3) Chest ultra-sono

 

4. Differential diagnosis

 

 

VII. 예방                                                                           

 

1. Vaccination

 

2. Medication

 

3. Other

 

 

VIII. 치료                                                                           

 

1. 폐렴의 입원 기준

 

2. Management

  1) Bacterial

  2) Viral

  3) Aspiration

 

3. 폐렴 치료의 효과 평가

 

4. Follow-up

 

 

IX. 예후                                                                           

 

1. Clinical prediction rules

 

2. Pleural effusion, empyema, and abscess

 

3. Respiratory and circulatory failure


Pneumonia

 

 

 

 

IX. 예후

 

치료를 받으면 대부분의 세균성 폐렴이 3~6일 안에 안정화된다. X-ray 소견은 일반적으로 4주 이내에 사라진다.

 

대부분의 증상이 해결되기까지 몇 주가 소요되는 경우가 많으며, 노인이나 기타 폐 문제가 있는 사람의 경우 회복에 12주 이상이 소요될 수 있다.

 

입원이 필요한 사람의 사망률은 10%에 이르고, 집중 치료가 필요한 환자의 사망률은 30~50%에 이를 수 있다.

폐렴은 사망을 유발하는 가장 흔한 병원 감염으로, 항생제가 출현하기 전에는 입원한 사람들의 사망률이 일반적으로 30.% 정도였다.

 

72시간 이내에 폐 상태가 악화되는 사람들의 경우, 문제는 대개 패혈증에 기인한다는 것이고, 72시간 후 폐렴이 악화되면 병원 내 감염이나 다른 기저 질환의 악화로 인한 것일 수 있다.

 

퇴원한 환자의 약 10%는 심장, 폐 또는 신경계 장애와 같은 기저 질환 동반, 또는새로운 폐렴 발생으로 인해 재입원하게 된다.

 

합병증은 특히 노인과 기저 질환이 있는 사람들에게 발생할 수 있으며, 농흉(empyema), 폐농양(lung abscess), 폐쇄성 세기관지염(bronchiolitis obliterans),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패혈증(sepsis), 및 근본적인 건강 문제의 악화가 포함될 수 있다.

 

 

 

1. Clinical prediction rules

 

폐렴의 결과를 보다 객관적으로 예측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이는 환자의 입원 여부를 결정하는데 자주 사용된다.

 

* Pneumonia severity index (or PSI score)

  ; strong recommendation, moderate quality of evidence

 

* CURB-65 score

  ; conditional recommendation, low quality of evidence

 

 

 

2. Pleural effusion, empyema, and abscess

 

폐렴의 경우, 폐를 둘러싸고 있는 공간에 체액 덩어리가 형성될 수 있다.

때때로 미생물이 이 체액을 감염시켜 농흉(empyema)을 일으킨다. 농흉(empyema)을 보다 흔한 단순 부폐렴 삼출액(parapneumonic effusion)과 구별하기 위해 thoracentesis를 통해 체액을 채취하여 검사할 수 있다.

 

CT chest showing large right sided hydro-pneumothorax from pleural empyema. Arrows A : air, B : fluid
A parapneumonic effusion (circled), due to a left lower lobe a pneumonia.

 

결과가 농흉(empyema)을 나타내면 drainage catheter를 통해 완전한 배액이 필요하며, 심한 경우에는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감염된 체액이 배액되지 않으면 항생제가 흉강(Pleural cavity)으로 잘 침투하지 못하기 때문에 감염이 지속될 수  있다.

 

드문 경우지만, 폐의 박테리아는 폐농양(lung abscess)이라고 하는 감염된 체액 주머니를 형성한다. 폐농양(lung abscess)은 일반적으로 chest X-ray로 볼 수 있지만, 진단을 확인하기 위해 종종 chest CT scan이 필요하다.

농양(abscess)은 일반적으로 흡인성 폐렴(aspiration penumonia)에서 발생하며 종종 여러 유형의 박테리아를 포함한다.

 

장기간의 항생제 치료는 일반적으로 폐농양(lung abscess)을 치료하는데 적합하지만 때로는 외과적인 방법으로 농양(abscess)을 배액해야 할 수도 있다.

 

Computed tomography (CT) scan of chest showing bilateral pneumonia with abscesses, effusion, and caverns. 37-year-old male.

 

 

 

3. Respiratory and circulatory failure

 

 

폐렴은 감염과 염증 반응의 조합으로 인한 급성호흡곤란 증후군(auc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 ARDS)을 유발하여 호흡 부전을 일으킬 수 있다.

 

폐는 빠르게 체액으로 채워지고 뻣뻣해지는데, 이 강성(stiffness) 및 폐포액(alveolar fluid)으로 인한 심각한 산소추출(extracting oxygen) 어려움으로, 생존을 위해 장기간의 기계적 환기가 필요할 수 있다.

 

순환 부전의 다른 원인 :

저산소혈증(hypoxemia), 염증(inflammation), 응고능력(coagulability) 증가

 

패혈증(sepsis)은 폐렴의 잠재적인 합병증, 일반적으로 면역력이 낮거나 비장 기능 저하증(hyposplenism)이 있는 사람들에게 발생한다.

 

가장 흔하게 관련되는 균 : Streptococcus pneumoniae, Haemophilus influenzae, Klebsiella pneumonia


[출처]

∘ WHO

∘ Wikipedia

 폐렴의 정의 및 분류 _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_ 정태훈, 김창호 _ 1996

∘ 흡인과 흡인성 폐렴 _ 임채만 _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내과

∘ 성인 지역사회획득 폐렴 항생제 사용지침 _ 이미숙 외 _ 2018


 

728x90
반응형